본문 바로가기
투자관련정리/책 Review

결제는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 Review-1

by bitcomparch 2023. 12. 5.
반응형

Visa 와 Mastercard 와 같은 결제 네트워크 기업에 대해 항상 좋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어느정도 결제 구조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지만 결제 전반적인 내용이 궁금하여 관련된 내용을 찾아보다가 이 책을 알게 되었다. 책의 저자는 2012년 ~ 2019년 까지 국제 은행 간 통신 협회인 SWIFT 의 CEO를 지낸 말 그대로 결제 및 네트워크 전문가이다. 읽다보니 말 그대로 결제 전반에 대한 내용을 알 수 있었다. 사실 투자에 필요한 내용보다는 훨씬 많은 내용이 담겨있지만 내용이 재미있어 읽고 있다. 책이 꽤 두꺼운 편이라 정리하면서 읽으면 좋을 것 같아 간략히 정리해보았다. 

결제는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

Introduction

  • 돈을 지불하는 방식이 바뀌면 기회와 위험이 동시에 생긴다.
  • 결제 방식에 따라 개개인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주체, 결제에 따르는 위험, 결제 시 치르는 비용이 달라짐. 경제 방법에 따라 그것을 지원하는 시스템과 시스템의 소유 주체가 달라지기 때문임.
  • 각 국가의 결제 방식은 지역적인 특성이 두드러짐. 결제 자체는 즉각적이지만 결제된 돈을 수령하는 과정은 느릴때가 많음
  • 결제 시장은 집중된 동시에 분산되어 있음. 200여 개국 25000개 은행들 사이 결제가 이뤄지지만, 국가 간 결제 대부분은 15개 은행 중 하나 통해 진행됨. 결제 근간이 되는 기술은 소수. 네트워크는 단일화되어 있기도 하고 다원적이기도 함

 

1부 움직이는 돈

1.1 그래서 결제가 뭔데?

  • 결제란 결국 채무를 이행하는 방법이다. 화폐 기반으로 돌아가는 현대 사회는 제대로 된 결제 시스템을 마련하고, 모든 사람이 해당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 오늘날 우리가 가진 돈은 부채 화폐 (Debt money)이다. 즉 돈은 곧 다른 누군가의 변제 의무를 상징한다. 예를 들어 은행에 예치해둔 나의 돈은 은행이 내게 진 빚이다. 현금은 발행 당사자인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에 기록된 부채이다. 따라서 채무 불이행 (디폴트)라는 본질적인 위험이 있다.
  • 결제와 화폐는 모두 신뢰에 기반하며, 결제 양방을 신뢰하기 보다는 시스템을 신뢰하는 것.

 

1.2 그러나 사실 돈은 움직이지 않는다.

  • 결제는 정보와 연결되어 있다. 현금 결제를 제외한 다른 결제 방식에서는 돈은 그 자리에 있고 장부에 기록된 내용만 바뀐다. 금도 비슷함. 금본위 시대에도 금은 장부상으로만 이동하였음.
  • 정산 과정 (settlement)의 방식에 무관하게 원장의 내용은 반드시 수정되며, 모든 장부들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참고로, 두 은행이 서로의 채권채무를 정산하는 과정을 학술적으로 결제, 즉 Settlement 라고 함).
  • 돈은 은행이 예금에서 대출을 통해 만들어낸다. 그러나 우리가 결제를 하는데 반드시 은행이 필요할까?

 

1.3 결제가 당면한 세가지 근본적인 과제

  • 현금 결제를 포함한 모든 결제 방식은 가치를 이전하는 행위. 위험, 유동성, 합의된 결제 수단 이라는 세가지 근본적인 과제가 있다.
    • 위험 : 모든 거래에는 누군가가 돈이나 상품을 받지 못할 위험이 있다.
    • 유동성 : 자동차로 물물 거래를 할 수는 없다. 결국 결제를 위해서는 현금 (= 유동성) 이 필요하다. 그러나 유동성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따른다.
    • 합의된 결제 수단 : 결제 매커니즘은 사회적 합의의 산물이다.
  • 훌륭한 결제 수단은 위험과 유동성을 최소화하면서 사람들의 결제 관례에 잘 스며들어야 한다.
  • 위험과 유동성은 상충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가 마이너스 통장으로, 은행은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하여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지만 돈을 받지 못할 신용 위험이 커진다.
  • 결제 습관을 바꾸기는 쉽지 않다. 애플페이도 직불, 신용카드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대다수 결제 회사들은 정기적으로 돈을 주고받는 소집단부터 시작한다. 신용카드도 1950년대 뉴욕에 있는 몇몇 레스토랑의 소수 단골 고객에서 출발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