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주식/Arista Networks

아리스타 네트웍스 (Arista Networks, ANET)의 경쟁사 대비 장점

by bitcomparch 2023. 11. 18.
반응형

아리스타 네트웍스 (Arista Networks, ANET) 의 대표적인 경쟁사로는 CISCO, Juniper Networks 등이 있다. 그렇다면 해당 기업들 대비 아리스타가 가지는 장점은 뭘까? 태생부터 클라우드를 target 으로 하였기에, 표준에 기반하여 확장성을 확보하였으며 + SW 기반이 탄탄하다는 것이 대표적인 장점이라고 생각된다. 

 

확장성 측면에서 보면 아래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

  • 타 벤더들의 경우 다른 벤더의 제품과는 함께 사용이 어려우며, 사용이 가능하더라도 기능이 제한적임
  • 반면, Arista 경우 최종 node가 Arista의 것이 아니더라도 아리스타의 solution을 활용 가능함
  • merchant silicon (상용 실리콘)에 기반하여 개방형 표준 네트워크 fabric을 사용하기에 범용적임
  • 모든 제품이 EOS (Extensible Operating System) 이라는 linux 커널을 기반으로 하는 운영체제를 탑재함  

더 자세한 내용을 보고 싶다면, Arista 에서 제공하는 아래 문서를 읽어보면 된다.

AT A GLANCE (arista.com)

이러한 확장성 및 SW 측면에서의 장점은 Arista Networks의 사업 확장을 용이하게 한다. 최근(이라기에는 꽤 되었지만) 아리스타 네트웍스는 기존의 Microsoft, Meta 등의 cloud titan 을 위한 cloud 향에 집중되어 있던 사업을 campus (enterprise) 향으로 확장하려고 하고 있다. 캠퍼스 향에 비해 더 진보된 클라우드 쪽의 기술을 캠퍼스에 도입하게 되면 운영팀 및 사용자 모두 이득이 있지만, campus 의 경우 부족한 인력 및 예산으로 인해 기존의 장비들을 쉽게 갈아치우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타 벤더들의 경우 campus 향, cloud 향이 따로 구축되어 있지만, 아리스타는 cloud vision portal 이라는 하나의 플랫폼으로 데이터 센터 기술을 그대로 캠퍼스에 녹일 수 있다. 또한, 타 벤더들의 경우 SDN을 구성한다고 할때, 굉장히 strict 한 design 을 따라가야 SDN을 구성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금융권에서의 예시를 보면, SDN을 roll back 할 수 있는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하는데, 이런 고객들을 위해서는 mobility 만을 지원하는 SDN-like 한, SDN 같지 않은 SDN 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다양성은 Arista 같이 다양한 구조를 지원할 수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campus 사업자의 경우 아무래도 빅테크 cloud titan 들에 비해서는 예산이 매우 부족하기에, 한번에 모든 장비를 갈아치울 수는 없다. 즉 단계적으로 SDN 을 구축을 해야 한다. SDN 의 3가지 요소로는 구조, 가시성, 자동화가 있는데, 아리스타 네트웍스의 경우 경쟁사들과는 다르게 이를 단계적으로 도입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예로, iptime 과 같은 허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Arista Networks는 MBVA 라는 기능을 이용해서 SDN을 구축이 가능하다 (참고로 허브의 경우에는 스위치에 비해 보안이 취약하다). 경쟁사들의 경우에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마지막 스위치는 자사의 제품이어야 SDN이 구축 가능하다.

 

SW 측면에서 보면, 요약하면 자동화, 사용성과 유지 보수 (가시성) 이다.

자동화의 경우, ZTP (Zero Touch Provisioning), Workflow control의 자동화, 무중단 업그레이드 등이 있다. 무중단 업그레이드의 경우 타 업체들도 제공하지만, 방식의 차이가 있다. 경쟁사들은 이를 위해 관리 HW가 2개가 들어가지만 (한개 업그레이드 하는 동안 나머지 한개가 동작), Arista Networks의 경우 이를 네트워크를 다르게 봄으로써 SW 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사용성의 경우, 명령어 기반의 API, 즉 기존의 네트워크 엔지니어들이 친숙한 command를 통해 API 를 사용할 수 있기에 연계성이 좋다고 한다.

유지 보수의 경우 앞선 포스팅에서도 언급하였지만, telemetry 를 타 업체들에 비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이를 통해 Machine learning 기반의 abnormal detection 및 관리를 더 잘할 수 있게 되고, client emulation을 더 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의 경우 네트워크의 문제인지, application의 문제인지 (예를 들면 zoom 이 문제가 되어 통신이 되지 않는 것인지, 네트워크 문제인지) 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inline application monitoring 이라고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도 경쟁사들에 비해 강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 Arista의 해자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을 듯 하다.

2023.11.11 - [해외주식/Arista Networks] - 아리스타 네트웍스 Arista Networks 기업 분석

 

아리스타 네트웍스 Arista Networks 기업 분석

아리스타 네트웍스 (Arista Networks, ANET) 은 네트워크 구성에 필요한 이더넷 스위치 장비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이다. 시스코 (Cisco)의 대항마로, 스위치 장비 분야에서 시스코의 점유율을 꾸준

stockvaluation.tistory.com

 

반응형